'거치식펀ㄷ'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8.12.05 적립식펀드 투자 할때 주의해야 할 점

우리 나라에 적립식 펀드가 소개되고 한때 유행처럼 가입하던 시기가 있었습니다.

마치 가입안하면 나만 뒤떨어진것 처럼.

직장 초년시절에 친구들과 주식정보를 주고받고서 

나름 위험을 분산한다고 분할 매입하고

적립식펀드의 효과를 노리기도 했습니다만

상장폐지라는 아픔도 겪었었지요..

주식이든 펀드든 공부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주는 대로 먹지말고 골라서 먹자!

오늘은 적립식펀드를 알아 보겠습니다.

펀드는 돈을 넣는 방법에 따라 거치식과 적립식으로 나뉘어 집니다.

거치식 펀드는 은행의 정기예금과 같은 방식입니다.

은행의 정기예금은 한번 돈을 넣고 정해진 기간동안 그냥 기다리는 겁니다.

거치식 펀드 마찬가지로 목돈을 한번에 맡겨놓고 펀드매니저가 그 돈을 잘 운용해주길 바라는 겁니다.

반면 적립식 펀드는 은행의 적금과 같은 방식입니다.

매달 때가 되면 차곡차곡 돈을 정해진 금액만큼 입금시킵니다.

적립식 펀드 역시 정해진 날짜에 정해진 금액을  입금하는 방식입니다.

 

거치식펀드는 만들어진 목돈을 굴리는 방법인데 반해

적립식펀드는 목돈을 만들기 위한 방법이라고 보면 되겠지요.

 

1. 분할매입 : 적립식 펀드는 매달 일정한 날에 일정한 금액만큼 주식 또는 채권을 사는 투자방법이죠.

나눠서 꾸준히 매입하기 때문에 어떤때는 손해를 어떤때는 수익을 볼수 있겠죠.

주식이라는것이 한방향으로 가는것이 아니고 진동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만큼 손해를 볼수 있는 Risk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2. 코스트에버리지 효과 코스트에버리지 효과 (Cost Average Effect)는 분할매수의 결과입니다.

우리말로 '물타기'라고 하죠.

매달 알아서 물타기를 해줍니다.

매달 분할 매입을 하면서 최초 매입단가가 끝까지 가는 것이 아니라

매달 평균값으로 매입가가 조정이 되겠죠.

3. 장기투자 : 적립식 펀드를 하면 오래 갈수 있습니다.

특히 사회초년생인 경우 큰돈은 아니라도 꾸준히 넣다 보면 어느새 목돈이 만들어지겠죠.

이미 만들어져 있는 목돈은 유혹이 많아 오래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1. 나의 투자 성향은?

펀드는 투자 상품입니다.항상 실패의 위험이 있습니다.

펀드 초기에는 그냥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펀드 가입을 시켜줬었는데

요즘에는 투자하려고 하는 사람의 성향을 파악하더라고요.

원금을 손해를 보더라도 투자를 해볼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면 펀드는 적합하지 않을 것입니다.

 

2. 추천하는 대로 가입하며 되나요?

펀드를 판매하는 회사의 말만 100% 믿을 것이 아닙니다.

미리 관심있는 펀드에 대해 공부하고 운용사의 과거 실적도 살펴봐야 할것입니다.

 

3.펀드수수료 따져봐야 한다.

우리가 은행에 적금을 10만원 넣으면 10만원이 그대로 예치됩니다.

하지만 펀드에 10만원을 넣으면 실제로 투자되는 돈은 운용사의 보수를 제외한 금액만이 투자됩니다.

그 수수료도 얼마나 나가는지 알고는 있어야 겠죠.

같은 값이라면 편드수수료가 낮은 쪽으로...

 

4. 운용사의 대표펀드에 집중하자!

대표펀드는 말그대로 그 운용사의 얼굴입니다.

얼굴이 빛나야 다른 펀드도 따라서  잘 나가겠지요.

 

 

5. 해외펀드에 섣불리 가입하지마라!

국내시장도 어려운데 해외시장까지 욕심낼 필요 없습니다.

환율,세금,환매기간등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많습니다.

처음 펀드를 하실 경우에는 가급적 해외펀드는 자제하시는게 좋습니다.

 

지금까지 적립식 펀드와 펀드의 장점, 펀드가입시 주의할 사항을 알아봤습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것은 적립식 펀드에 지금 가입하는 것입니다.

직장인이나 목돈이 없는 소시민들이 작은 돈으로 투자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주식투자라고 생각합니다.

직접투자에 자신이 없는 분이라면 펀드를 통해

경제적 자유를 향해가는 배에 같이 타시면 좋겠습니다.

안하는것 보다 하는게 100배 낫다~!! 제 생각입니다. ^^

Posted by 동귤이 :